카드결제는 콜론비아츠 갤러리 현장 결제만 가능합니다.
Online shop에서는 계좌입금과 paypal로 결제 가능합니다.
허욱 Heo Wook
1986-1992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입학, 졸업
1993-1994 프랑스 깽뻬흐 미술학교 입학
1994-1998 프랑스 파리국립미술학교 입학. 졸업 (DNSAP)
주요 개인전
2022 갤러리 콜론비 개인전, 서울
AUGHT NEWYORK, 뉴욕
L153 갤러리, 개인전, 서울
정동1928 아트센터, 서울
2021 정동1928 아트센터, 서울
2020 MILAL 미술관, 서울
콜론비아츠, 개인전, 서울
2019 MILAL 미술관, 서울
2018 갤러리 이리튬, 동경, 일본
콜론비아츠, 개인전, 서울
LGU+ C갤러리, 개인전, 서울
LGU+ 힐링& 아트 갤러리, 개인전, 서울
2017 콜론비아츠, 개인전, 서울
주요 2인전. 3인전
2018 <겹침> 허욱,조나라 2인전,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18 <Between Space> 허욱, 정다운 2인전, 호반아트리움, 광명
Heo Wook (허욱)
Education
1986-1992: Yewon School and Seoul Arts High School
1993-1994: École des Beaux-Arts in Quimper, France
1994-1998: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ENSBA) in Paris, France (DNSAP)
Major Solo Exhibitions
2022
• Gallery ColonB, Seoul
• AUGHT New York, New York
• L153 Gallery, Seoul
• Jeongdong 1928 Art Center, Seoul
2021
• Jeongdong 1928 Art Center, Seoul
2020
• MILAL Art Museum, Seoul
• Gallery ColonB, Seoul
2019
• MILAL Art Museum, Seoul
2018
• Gallery Irritum, Tokyo, Japan
• Gallery ColonB, Seoul
• LGU+ C Gallery, Seoul
• LGU+ Healing & Art Gallery, Seoul
2017
• Gallery ColonB, Seoul
Major Two-Person and Group Exhibitions
2018
• Overlap, Two-Person Exhibition with Jo Nara, Trinity Gallery, Seoul
• Between Space, Two-Person Exhibition with Jung Daun, Hoban Atrium, Gwangmyeong
허욱(b. 1973~)는 파리 국립미술학교 순수미술학과 졸업 후 ‘더하고 더하다'라는 의미의 '첨첨(添添)’ 시리즈를 통해 독창적인 조형 언어를 탐구해 왔다. 직선과 곡선, 경계가 뚜렷한 면들이 캔버스를 리드미컬하게 가로지르고 섬세하고 감각적인 색을 대담한 패턴의 구성으로 캔버스를 채운다.
한국을 비롯해 뉴욕, 런던, 시드니, 북경 등 여러 해외 도시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과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싱글 몰트 위스키 브랜드인 맥캘란, 친환경 브랜드 IWP(I WAS PLASTIC)와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건축적 요소가 돋보이는 회화 작품을 선보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예술 활동을 확장하고 있다.
Heo Wook (b. 1973~)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Fine Arts at the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de Paris and has been exploring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through his series Cheom Cheom (添添), which translates to 'to add and add again'. Straight and curved lines, along with clearly defined surfaces, rhythmically traverse the canvas, filling it with delicate and sensory colors arranged in bold patterns.
He has garnered attention in major cities worldwide, including Seoul, New York, London, Sydney, and Beijing. He has also expanded his artistic practice through diverse collaborations, including public art projects with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partnerships with the single malt whisky brand Macallan, and collaborations with the eco-friendly brand IWP (I WAS PLASTIC), highlighting architectural elements in his paintings and broadening his creative expression.
작가노트 / 허욱
작가로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가장자리, 즉 경계의 끝에서 시작선을 긋는 순간이다. 이어 계속 첨첨해 나가면 동시에 새로이 펼쳐지는 '창조미의 면'이 오픈되도록 지지해주기 때문이다.
경계선, 시작선, 연결선 같은 선을 긋다는 것은 막혀있다는 것이 아니라 바로 해체해서 열려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언제, 어디서든지 공간과 나의 신체나 정신과 협조하여 긋는 선은 주체성이 아닌 공동성, 주관성이 아닌 객관성, 순간적인 <오픈선>이라고 말하고 싶다.
첨첨 방식중에서 '직선 방식'은 그속에 비밀 같은 과정이 있어 가장 재미있다.
처음 첨첨을 시작할 때 바로 직선을 긋다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방식으로 곡선을 먼저 첨첨해 놓고 그 바탕 위에서 T 자를 캔버스 가장자리ㆍ경계선에 맞추어 대고 '곡선 방식'을 재변모시켜 건축적인 직선을 재오픈시킨다.
STATEMENT / HEO WOOK
As a painter, the happiest moment is when I draw a line at the edge, at the very boundary where something new begins. By continuing to layer line upon line, a “plane of creative beauty” unfolds and opens up simultaneously, as if being supported in its emergence.
Drawing lines—whether they are boundaries, starting lines, or connecting lines—does not signify closure, but rather the act of dismantling and opening up. Thus, the lines I draw, in collaboration with space and my own body or mind, are not about subjectivity but about collectivity; not about individuality but objectivity. These are transient open lines.
Among the various layering techniques, the “straight line method” is the most intriguing, as it contains a hidden process akin to a secret. When I begin layering, I do not start with a straight line in a literal sense. Instead, I first draw curves in an essential manner, using them as the base. Then, aligning a T-square with the edges or boundaries of the canvas, I transform these “curved methods” into an architectural straight line, reopening them through a process of reformation.
카드결제는 콜론비아츠 갤러리 현장 결제만 가능합니다.
Online shop에서는 계좌입금과 paypal로 결제 가능합니다.
허욱 Heo Wook
1986-1992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입학, 졸업
1993-1994 프랑스 깽뻬흐 미술학교 입학
1994-1998 프랑스 파리국립미술학교 입학. 졸업 (DNSAP)
주요 개인전
2022 갤러리 콜론비 개인전, 서울
AUGHT NEWYORK, 뉴욕
L153 갤러리, 개인전, 서울
정동1928 아트센터, 서울
2021 정동1928 아트센터, 서울
2020 MILAL 미술관, 서울
콜론비아츠, 개인전, 서울
2019 MILAL 미술관, 서울
2018 갤러리 이리튬, 동경, 일본
콜론비아츠, 개인전, 서울
LGU+ C갤러리, 개인전, 서울
LGU+ 힐링& 아트 갤러리, 개인전, 서울
2017 콜론비아츠, 개인전, 서울
주요 2인전. 3인전
2018 <겹침> 허욱,조나라 2인전,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2018 <Between Space> 허욱, 정다운 2인전, 호반아트리움, 광명
Heo Wook (허욱)
Education
1986-1992: Yewon School and Seoul Arts High School
1993-1994: École des Beaux-Arts in Quimper, France
1994-1998: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ENSBA) in Paris, France (DNSAP)
Major Solo Exhibitions
2022
• Gallery ColonB, Seoul
• AUGHT New York, New York
• L153 Gallery, Seoul
• Jeongdong 1928 Art Center, Seoul
2021
• Jeongdong 1928 Art Center, Seoul
2020
• MILAL Art Museum, Seoul
• Gallery ColonB, Seoul
2019
• MILAL Art Museum, Seoul
2018
• Gallery Irritum, Tokyo, Japan
• Gallery ColonB, Seoul
• LGU+ C Gallery, Seoul
• LGU+ Healing & Art Gallery, Seoul
2017
• Gallery ColonB, Seoul
Major Two-Person and Group Exhibitions
2018
• Overlap, Two-Person Exhibition with Jo Nara, Trinity Gallery, Seoul
• Between Space, Two-Person Exhibition with Jung Daun, Hoban Atrium, Gwangmyeong
허욱(b. 1973~)는 파리 국립미술학교 순수미술학과 졸업 후 ‘더하고 더하다'라는 의미의 '첨첨(添添)’ 시리즈를 통해 독창적인 조형 언어를 탐구해 왔다. 직선과 곡선, 경계가 뚜렷한 면들이 캔버스를 리드미컬하게 가로지르고 섬세하고 감각적인 색을 대담한 패턴의 구성으로 캔버스를 채운다.
한국을 비롯해 뉴욕, 런던, 시드니, 북경 등 여러 해외 도시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과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싱글 몰트 위스키 브랜드인 맥캘란, 친환경 브랜드 IWP(I WAS PLASTIC)와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건축적 요소가 돋보이는 회화 작품을 선보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예술 활동을 확장하고 있다.
Heo Wook (b. 1973~)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Fine Arts at the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de Paris and has been exploring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through his series Cheom Cheom (添添), which translates to 'to add and add again'. Straight and curved lines, along with clearly defined surfaces, rhythmically traverse the canvas, filling it with delicate and sensory colors arranged in bold patterns.
He has garnered attention in major cities worldwide, including Seoul, New York, London, Sydney, and Beijing. He has also expanded his artistic practice through diverse collaborations, including public art projects with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partnerships with the single malt whisky brand Macallan, and collaborations with the eco-friendly brand IWP (I WAS PLASTIC), highlighting architectural elements in his paintings and broadening his creative expression.
작가노트 / 허욱
작가로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가장자리, 즉 경계의 끝에서 시작선을 긋는 순간이다. 이어 계속 첨첨해 나가면 동시에 새로이 펼쳐지는 '창조미의 면'이 오픈되도록 지지해주기 때문이다.
경계선, 시작선, 연결선 같은 선을 긋다는 것은 막혀있다는 것이 아니라 바로 해체해서 열려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언제, 어디서든지 공간과 나의 신체나 정신과 협조하여 긋는 선은 주체성이 아닌 공동성, 주관성이 아닌 객관성, 순간적인 <오픈선>이라고 말하고 싶다.
첨첨 방식중에서 '직선 방식'은 그속에 비밀 같은 과정이 있어 가장 재미있다.
처음 첨첨을 시작할 때 바로 직선을 긋다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방식으로 곡선을 먼저 첨첨해 놓고 그 바탕 위에서 T 자를 캔버스 가장자리ㆍ경계선에 맞추어 대고 '곡선 방식'을 재변모시켜 건축적인 직선을 재오픈시킨다.
STATEMENT / HEO WOOK
As a painter, the happiest moment is when I draw a line at the edge, at the very boundary where something new begins. By continuing to layer line upon line, a “plane of creative beauty” unfolds and opens up simultaneously, as if being supported in its emergence.
Drawing lines—whether they are boundaries, starting lines, or connecting lines—does not signify closure, but rather the act of dismantling and opening up. Thus, the lines I draw, in collaboration with space and my own body or mind, are not about subjectivity but about collectivity; not about individuality but objectivity. These are transient open lines.
Among the various layering techniques, the “straight line method” is the most intriguing, as it contains a hidden process akin to a secret. When I begin layering, I do not start with a straight line in a literal sense. Instead, I first draw curves in an essential manner, using them as the base. Then, aligning a T-square with the edges or boundaries of the canvas, I transform these “curved methods” into an architectural straight line, reopening them through a process of reformation.